본문 바로가기
IT 관련 정보

5G 요금제 LTE 변경방법과 위약금 어떻게 되나?

by 정보브릭 2021. 3. 22.

5G 통신이 상용화로 5G 가입자 선점을 위한 통신사들의 5G 폰 판매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5G 요금제에서 4G인 LTE 요금제로 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5G 요금제 LTE 요금제 변경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5G 에서 LTE 요금제 변경 방법

4차 산업혁명의 대표 산업 중에 5G 통신이 있을 만큼 빛에 속도를 꿈꾸며 5G 폰을 구매했던 수많은 구매자들은 기존 LTE때 보다 못한 통신품질에 경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5G 통신의 기지국이나 통신설비들이 완벽하지 않은 상태라 그렇습니다 오래전 3G 통신 시대에서 4G인 LTE 시대 초창기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핸드폰 고수들은 통신이나 휴대폰에 큰 패러다임 변화가 있을 때는 바로 최신형을 구매하지 않고 어느 정도 안정성이 확보되면 구매한다고 합니다  물론 저렴한 가격도 덤으로 말입니다

 

하지만 결국 최신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5G 폰을 구매한 사람들이 통신품질도 별로고 비싼 5G 요금제가 싫어서 기존 LTE 요금제로 변경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일단 LTE 공기기가 필요합니다  LTE폰 공기기에 5G 폰에 있는 유심을 빼서 유심 기변을 합니다  LTE폰이 유심을 인식하면, LTE 요금제로 변경 후 다시 5G 폰으로 유심 기변 해서 쓰면 됩니다 

 

요금제 변경시 주의할 점

5G 요금제에서 LTE 요금제로 변경이 가능하다고 해도 처음 가입할 때 가입한 조건을 잘 기억해서 변경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될 수 있으면 가입 당시 작성한 서류를 보관하는 게 좋습니다 

 

주의할 점

  • 5G 폰 구입 시 유심 기변을 포함한 기변이 가능한 3~6개월 이후  조건이 있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구입 시 요금제 변경이 제한되는 기간 조건이 있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KT 통신사는 변경이 쉽지만, SK와 LGT는 가능은 하지만 좀 까다로우며 대리점을 방문해야 합니다
  • 휴대폰 구입 당시 선택 약정과 공시 지원금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엄청난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스마트폰

 

선택 약정과 공시 지원금 그리고 대리점 할인

휴대폰으로 변경 업무를 할 때마다 등장하여 우리를 괴롭히는 단어가 바로 선택 약정과 공시 지원금 여부 입니다  가입 시 지원받은 형태에 따라 우리가 부담할 위약금이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지원금 종류

  • 공시지원금 - 전국 공통으로 정해지는 단말기에 적용되는 기기 할인
  • 선택 약정제도 - 구입 당시 정해진(2년 약정) 기간을 조건으로 매월 요금에서 받는 요금제 할인
  • 대리점 할인 - 판매하는 대리점에서 별도로 해주는 기기 할인

매월 요금할인으로 받는 선택 약정제의 경우 SK, KT, LGT 모든 통신사에서 LTE 요금제 변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가입 당시 일정기간 지난 후 변경이 가능한 조건이 있는지 여부는 확인하셔야 합니다 

 

공시 지원금으로 할인을 받아 구입하셨다면, 각 통신사마다 다르긴 하지만 사용기간에 따라 위약금을 내야 합니다 그러니 꼭 요금제 변경을 하기 전에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위약금은 예상보다 상당한 금액일 수 있습니다  참고로 LGT 가입한 5G 폰이라면 LTE요금제 변경은 포기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지금까지 5G 기기 구입 후 LTE 요금제로 변경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댓글